padding / margin
※ 박스의 안쪽 여백 / 박스의 바깥쪽 여백
-top, -bottom, -right, -left | { padding or margin : 0px 0px 0px 0px; } |
위, 아래, 오른쪽, 왼쪽 패딩이나 마진값을 줄 수 있다. | 왼쪽부터 위, 오른쪽, 아래, 왼쪽 순으로 패딩이나 마진값을 줄수 있다. 네 값을 모두 주지 않을 경우 위/아래, 오른쪽/왼쪽이 한 쌍이 되어 같은 값을 공유한다. 하나의 값을 줄 경우 네 곳이 같은 값을 가지게 된다. |
display
※ 요소가 지닌 속성을 바꾸거나 재배치 할 때 사용
block | 블록 요소로 지정함 (div, p, ul, ol, dl, li, h1~h6, address, hr 등) |
inline | 인라인 요소로 지정함 (label, b, strong, mark, i, span, small, sup, sub, s 등) |
inline-block | 인라인 블록 요소로 지정함 (input 등) |
none | 요소의 박스 타입을 없앰 (요소가 사라짐) |
flex | 부모를 기준으로 자식들을 수평으로 배치함 |
font
※ 글자와 관련된 속성들을 지정함
font-style | 글자 기울기 지정 | |
font-size | 글자 크기 지정 | |
font-weight | 글자 두께(가중치) 지정 | - normal : 기본값, 400과 동일함 - bold : 글자 두껍게, 700과 동일함 - bolder : 부모요소보다 더 두껍게 - lighter : 부모요소보다 더 얇게 - 100~900 : normal과 bold이외의 두께를 지정할 때 사용 |
line-height | 줄 높이(간격)을 지정 | - normal : 브라우저가 가진 기본 정의를 사용 - 숫자 : 요소 자체 글꼴 크기의 배수로 지정 - 단위 : px, em, cm등 단위로 지정 - % : 요소 자체 글꼴 크기의 비율로 지정 |
font-family | 글꼴(서체) 지정 | - serif : 바탕체 계열 - sans-serif : 고딕체 계열 - monospace : 고정너비 글꼴 계열 - cursive : 필기체 계열 - fantasy : 장식 글꼴 계열 |
하나하나 지정하기엔 속성이 너무 많아 번거롭다면 단축 속성을 활용하자.
font : [style 값] [weight 값] [size 값] / [height 값] [family 값]
※ 빨간 글씨 부분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값이며, 이외의 값은 생략해도 문제없다.
position
※ 텍스트, 이미지, 표 등의 요소를 웹 문서에 배치할 때 사용하는 속성
정적 위치 설정 | static | 기본값, 각종 요소를 HTML 문서에 마크업한 그대로 배치됨 |
상대 위치 설정 | relative | 다른 요소의 위치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, 자기 자신을 기준으로 이동하여 배치함 |
절대 위치 설정 | absolute | relative를 가진 부모요소를 기준으로 이동하여 배치함 (없을 경우 문서 자체가 부모가 됨) |
고정 위치 설정 | fixed | 부모요소가 body로 고정되며, 스크롤을 동작해도 고정된 위치에 그대로 배치됨 |
sticky | 스크롤을 동작하면 부모요소가 가진 범위에서만 고정된 위치에 그대로 배치됨 (top, botoom, right, left 어디에 고정할 지 정해야 함) |
'아이티에듀넷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4-07-29 :: 006 HTML의 구조 분석 연습 ① (2) | 2024.07.29 |
---|---|
2024-07-26 :: 005 애니메이션 (0) | 2024.07.26 |
2024-07-24 :: 003 선택자 (0) | 2024.07.24 |
2024-07-23 :: 002 공간 분할 태그 및 CSS 기초 (0) | 2024.07.23 |
2024-07-22 :: 001 HTML 태그 정리 (5) | 2024.07.22 |